Wisconsin Business Press
SEE OTHER BRANDS

Keeping up with business and economy news from Wisconsin

니로 테라퓨틱스(Nilo Therapeutics), 면역질환의 신경 회로를 표적으로 하는 신약 계열 개발 추진 목표로 1억 1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나서며 킴 세스(Kim Seth) 박사를 CEO로 임명

더 컬럼 그룹(The Column Group), DCVC 바이오, 럭스 캐피털(Lux Capital) 주도한 이번 투자 유치에는 게이츠 재단(Gates Foundation) 및 알렉산드리아 벤처 인베스트먼츠(Alexandria Venture Investments)가 참여

뉴욕, Oct. 09, 2025 (GLOBE NEWSWIRE) -- 질병에서 신경 회로를 활용해 면역 항상성을 회복시키는 바이오테크 기업 니로 테라퓨틱스 (Nilo Therapeutics) 가 오늘 1억 100만 달러 규모의 시리즈 A 투자 유치에 들어갔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투자 유치는 더 컬럼 그룹(The Column Group, TCG), DCVC 바이오, 럭스 캐피털(Lux Capital)이 주도하고, 빌앤멜린다 게이츠 재단(Gates Foundation)과 알렉산드리아 벤처 인베스트먼츠(Alexandria Venture Investments)가 참여하였다. 회사는 이번 투자 유치에 함께 킴 세스(Kim Seth) 박사를 최고경영자(CEO) 겸 이사회 이사로 임명했다.

니로 테라퓨틱스(Nilo Therapeutics)는 찰스 주커 박사(Columbia University), 루슬란 메드지토프 박사(Yale University), 스티브 리버리스 박사 (Harvard University) 등 세계적 석학들이 회사 창립에 공동으로 참여하였으며 TCG와의 협력을 통해 신경면역학(neuro-immunology) 분야의 획기적인 과학적 발견을 새로운 치료 전략으로 전환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세스 박사는 최고과학책임자(CSO)인 로렌스 크루디니어(Laurens Kruidenier) 박사와 함께 회사를 비공개 연구 단계(stealth mode)에서 다음 성장 단계로 전환하는 리더십 역할을 맡는다. 이번 투자 자금은 뉴욕시에 연구소 설립, 학제 간 연구개발(R&D) 팀 확대, 전임상 프로그램 진전 등에 사용될 예정이다.

니로(Nilo)는 신경 회로를 활용해 중추신경계 수준에서 면역 항상성을 회복시키는 약물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는 기존의 면역억제(immunosuppression) 방식을 넘어서는 차별화된 면역조절(immunomodulation) 접근법을 제시한다. 회사는 찰스 주커Charles Zuker) 박사 (Columbia University, 하워드휴즈의학연구소 연구원)의 연구실에서 이루어진 핵심적인 신경면역학 발견을 기반으로 세워졌다. 해당 연구는 전신 면역 활성화 및 염증을 조절하는 특정 미주신경(vagal neuron)을 규명하는데 성공했다. 니로는 이러한 뇌-신체 간 ‘마스터 조절자(master regulator)’ 회로를 표적으로 삼아 여러 면역 경로를 동시에 조절함으로써 치료 저항성을 줄이고, 미충족 수요가 큰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전반에서 더 폭넓은 치료 효과를 추구하고 있다.

세스 (Seth) 박사는 25년 이상 바이오제약 업계 경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초기 단계 및 상장 바이오텍, 대형 제약사에서 경영, 전략, 연구개발(R&D), 사업개발, 재무, 자본시장 운영 전반을 이끌어왔다. 니로 합류 전, 그는 정밀 종양학(precision oncology) 기업인 리페어 테라퓨틱스(Repare Therapeutics)의 최고사업책임자(CBO)로 근무하며 경영진의 핵심 멤버로 활약했다. 시리즈 A 이전 단계부터 IPO까지 회사를 성장시켰으며, 글로벌 플랫폼·자산·임상 파트너십을 통해 2억 5천만 달러 이상의 자금 유치를 주도했다(총 잠재 가치 40억 달러 이상). 리페어 이전에는 화이자(Pfizer) 등 다수의 제약사에서 사업개발·전략·운영 부문 리더십을 맡았으며, 골드만삭스에서는 대형 제약 및 전문 제약 분야 연구 애널리스트로 활동했다. 그는 하버드대학교에서 경제학 학사(우등, cum laude)와 하버드 의과대학 의학과 신경생물학 박사(Ph.D.) 학위를 취득했다.

세스 (Seth) 박사는 니로 테라퓨틱스의 최고과학책임자(CSO)역을 맡고 있는 로렌스 크루디니어(Laurens Kruidenier) 박사와 함께 회사를 이끌게 된다. 크루디니어 박사는 면역학 및 신약 개발 분야의 선도적인 전문가로, 이전에는 셀러리티(Cellarity)와 프로메테우스 바이오사이언스(Prometheus Biosciences, 머크에 인수됨)에서 CSO를 역임하며,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치료제의 초기 개념부터 임상 단계까지 다수의 혁신적 치료제를 성공적으로 발전시킨 장본인이다. 그는 경력 초기 다케다제약(Takeda Pharmaceuticals)과 GSK(글락소스미스클라인)에서 전임상 및 신약 발굴 연구팀, 사업개발 전략 부문을 이끌었으며, 라이덴대학교(Leiden University)에서 면역학 박사학위(Ph.D.)를 취득했다. 그의 연구는 Nature 등 세계적 학술지에 다수 게재되었다.

로렌스 크루디니어 박사는 “니로는 지금 변혁적인 전환점에 서 있다. 킴 세스 박사의 리더십과 경험은 우리가 신경면역학의 혁신적 발견을 실제 치료제로 전환하는 사명을 실현하는 작업에 더욱 추진력을 부여할 것이다. 이를 통해 광범위한 면역기전 질환 환자들에게 새로운 치료 혜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더 컬럼 그룹(The Column Group)의 매니징 파트너인 팀 쿠츠키(Tim Kutzkey) 박사는 “킴 세스 박사가 CEO로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 그는 기업을 초기 단계에서 IPO까지 성공적으로 이끌고, 다수의 프로그램을 전진시킨 검증된 리더십과 통찰력을 지니고 있다. 혁신적인 과학을 획기적인 의약품으로 전환하려는 그의 열정은, 로렌스 박사의 과학적 리더십과 완벽히 보완되는 역량이며, 니로를 다음 성장 단계로 이끌어갈 이상적인 인물이다.”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니로 테라퓨틱스 CEO가 된   킴 세스(Kim Seth) 박사는 “탁월한 재능과 헌신을 갖춘 니로 팀에 합류하게 되어 큰 영광이다. 로렌스 박사, 세계적 수준의 과학자 창립진, 그리고 투자자들과 함께, 우리는 ‘뇌-면역 축(brain-immune axis)’을 활용해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치료를 혁신할 차세대 치료제를 개발하는 회사를 만들어가게 될 것이다.”라고 언급했다.

Nilo Therapeutics 소개

니로 테라퓨틱스(Nilo Therapeutics)는 질병 상태에서 손상된 면역 항상성을 회복시키기 위해 신경 회로를 활용하는 새로운 계열의 치료제를 개발하는 바이오테크 기업이다. 이 회사는 전신 염증을 중추적으로 조절하는 ‘뇌-신체 마스터 조절 회로(brain-body master regulator circuits)’를 표적으로 삼아, 기존의 면역억제 치료를 넘어서는 차별화된 면역조절(immunomodulation) 접근법을 개척하고 있다. 니로의 혁신적인 치료 전략은 자가면역질환과 염증성 질환 등 미충족 의료 수요가 큰 다양한 질환군을 대상으로 폭넓은 치료 가능성을 제시한다. 니로 테라퓨틱스의 본사는 미국 뉴욕(New York, NY)에 위치하고 있다. 회사의 공식 웹사이트는 www.nilotx.com

추가 정보가 필요할 경우 다음 연락처로 문의하세요: info@nilotx.com.


Legal Disclaimer:

EIN Presswire provides this news content "as is" without warranty of any kind. We do not accept any responsibility or liability for the accuracy, content, images, videos, licenses, completeness, legality, or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contained in this article. If you have any complaints or copyright issues related to this article, kindly contact the author above.

Share us

on your social networks:
AGPs

Get the latest news on this topic.

SIGN UP FOR FREE TODAY

No Thanks

By signing to this email alert, you
agree to our Terms & Conditions